북극성 찾는 법, 1분 만에 배우기 (북두칠성, 카시오페이아 활용 꿀팁)

 

어두운 밤, 길을 잃었을 때 옛날 사람들은 어떻게 방향을 찾았을까요? 정답은 바로 밤하늘의 등대, '북극성'입니다! 오늘은 언제나 그 자리에서 우리를 지켜주는 북극성을 쉽고 재미있게 찾는 방법과 그 안에 숨겨진 놀라운 비밀들을 알려드릴게요.

캠핑을 가거나 맑은 날 밤하늘을 올려다보면 수많은 별들이 반짝이는 모습에 넋을 잃게 되죠. 그런데 그 수많은 별들 중에 유독 특별한 별이 하나 있답니다. 바로 '북극성'이에요. 다른 별들은 시간이 지나면 자리가 바뀌는데, 신기하게도 북극성만은 거의 움직이지 않고 항상 같은 자리를 지키고 있거든요. 그래서 옛날부터 항해사나 여행자들에게는 더없이 소중한 '길잡이 별'이었답니다. 😊 오늘은 이 신기한 북극성을 찾는 방법을 배워볼까요?

 

밤하늘의 내비게이션! 북극성 찾는 법 🧭

북극성은 생각보다 밝은 별이 아니라서 무작정 찾으려면 어려울 수 있어요. 하지만 걱정 마세요! 우리에게는 북극성을 쉽게 찾도록 도와주는 두 명의 친구, '북두칠성'과 '카시오페이아자리'가 있답니다.

방법 1: 국자 모양 '북두칠성' 이용하기 (봄, 여름에 잘 보여요)

1. 밤하늘에서 국자 모양의 북두칠성을 찾아보세요. 🥄
2. 국자 끝부분에 있는 두 개의 별을 찾아 선으로 연결해 보세요.
3. 그 선을 5배 정도 쭉~ 연장하면 유독 움직이지 않고 빛나는 별이 있는데, 그게 바로 북극성입니다!

방법 2: W 모양 '카시오페이아자리' 이용하기 (가을, 겨울에 잘 보여요)

1. 밤하늘에서 W 모양의 카시오페이아자리를 찾아보세요. 👑
2. W의 양쪽 두 변을 각각 연장해서 만나는 점을 찾으세요.
3. 그 만나는 점에서 W의 가운데 별까지 선을 긋고, 그 선을 5배 정도 쭉~ 연장하면 북극성을 찾을 수 있답니다!

💡 알아두세요!
북두칠성과 카시오페이아자리는 북극성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 보고 있어요. 그래서 한쪽이 잘 보이지 않을 땐 반대편 하늘을 찾아보면 다른 쪽 별자리를 쉽게 찾을 수 있답니다.

 

북극성은 왜 항상 그 자리에 있을까요? 🧐

다른 별들은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지는데, 왜 북극성만 움직이지 않는 것처럼 보일까요? 그 비밀은 바로 '지구의 자전축'에 있습니다.

개념 설명
지구의 자전 지구는 팽이처럼 빙글빙글 돌고 있어요. 이 회전축을 '자전축'이라고 합니다.
천구의 북극 지구의 자전축을 북쪽 하늘로 쭉~ 연장했을 때 닿는 가상의 점이에요.
놀라운 우연! 북극성은 아주 우연히도, 이 '천구의 북극' 바로 근처에 위치하고 있어요. 그래서 지구가 아무리 돌아도 팽이의 중심축처럼 거의 움직이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랍니다!
⚠️ 영원한 북극성은 없다?
사실 지구의 자전축은 26,000년을 주기로 아주 조금씩 움직이고 있어요. 그래서 아주 먼 과거에는 다른 별이 북극성이었고, 먼 미래에는 또 다른 별이 북극성의 자리를 차지하게 될 거예요. 지금 우리가 북극성을 볼 수 있는 건 정말 놀라운 우연이죠!

북극성에 대한 놀라운 사실들 ✨

⭐ 사실 북극성은 하나가 아니다?
우리가 맨눈으로 볼 때는 하나의 별처럼 보이지만, 사실 북극성은 3개의 별이 서로 뭉쳐있는 '삼중성'이랍니다. 망원경으로 보면 그 모습을 확인할 수 있어요.
⭐ 생각보다 엄청나게 밝은 별!
북극성은 지구에서 약 430광년이나 떨어져 있어요. 그렇게 멀리 있는데도 우리 눈에 보인다는 건, 실제로는 태양보다 수천 배나 더 밝은 '초거성'이라는 뜻이랍니다.
⭐ 남반구에서는 볼 수 없다!
북극성은 지구 북반구에서만 볼 수 있어요. 그래서 호주나 뉴질랜드 같은 남반구에서는 북극성 대신 '남십자성'을 보고 남쪽 방향을 찾는답니다.

오늘 밤, 구름이 없는 맑은 날이라면 가족과 함께 밖으로 나가 직접 북극성을 찾아보는 건 어떨까요? 밤하늘의 길잡이 별을 내 눈으로 직접 찾는 경험은 분명 잊지 못할 특별한 추억이 될 거예요. 😊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