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B, 해저드가 두렵지 않다! 골프 벌타 줄이는 필수 규칙 가이드

 

[골프 규칙, 아직도 복잡하고 어렵게만 느껴지시나요?] 18홀 라운드 중 꼭 필요한 핵심 규칙만 모았습니다. OB, 해저드, 벙커 등 헷갈리는 상황별 대처법부터 벌타를 줄이는 꿀팁까지, 이 글 하나로 동반자에게 사랑받는 스마트한 골퍼가 되어보세요!

제 첫 머리 올리던 날이 생각나네요. 티샷한 공이 오른쪽으로 휘어져 숲으로 사라졌는데, 전 순진하게도 숲속으로 터벅터벅 걸어 들어가 공을 찾아서 다음 샷을 했답니다. 동반자들이 웃으면서 "그거 OB(Out of Bounds)에요!"라고 알려주기 전까지는요. 규칙을 몰랐던 제 스코어 카드는 그야말로 '재앙' 수준이었죠. 😂

골프 규칙, 생각만 해도 머리 아프신가요? 수백 페이지에 달하는 공식 규칙집을 다 외울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즐겁고 공정한 플레이를 위해, 그리고 제 경험처럼 부끄러운 상황을 피하기 위해 꼭 알아야 할 기본 규칙들은 분명히 있습니다. 오늘은 18홀 내내 마주하게 될 필수 골프 규칙들을 누구나 이해하기 쉽게, 상황별로 깔끔하게 정리해 드릴게요!

 

1. 시작이 반! 티잉 구역(Teeing Area) 기본 규칙 ⛳

모든 홀의 시작, 티잉 구역에서는 딱 두 가지만 기억하세요.

  • 티 마커 안에서 치기: 공은 반드시 두 개의 티 마커(Tee Marker)를 연결한 가상의 선 뒤쪽, 그리고 그 선으로부터 두 클럽 길이 이내의 사각형 구역 안에서 쳐야 합니다. 이 구역을 벗어나서 치면 2벌타를 받고 다시 쳐야 해요.
  • 헛스윙 전에는 괜찮아: 어드레스를 하다가 클럽 헤드로 공을 건드려 티에서 떨어졌나요? 괜찮습니다! 스윙할 의도가 없었다면 벌타 없이 공을 다시 티 위에 올려놓고 칠 수 있습니다.

 

2. 코스 위에서 벌어지는 일들: 일반 구역(General Area) 규칙 🌿

티잉 구역과 그린, 페널티 구역, 벙커를 제외한 코스의 모든 영역을 '일반 구역'이라고 합니다. 페어웨이와 러프가 여기에 해당되죠.

  • 있는 그대로 플레이: 'Play the ball as it lies'는 골프의 가장 위대한 원칙입니다. 공이 놓인 상태 그대로 플레이해야 하며, 공 주변의 풀을 밟거나 나뭇가지를 부러뜨리는 등 라이(Lie)를 개선하는 행위는 금지됩니다. (2벌타)
  • 내 공인지 확인하기: 다른 사람의 공을 치면 2벌타입니다. 내 공인지 헷갈릴 땐 동반자에게 알리고 공을 집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크는 필수!)
  • 움직일 수 있는 자연물/인공물: 스윙에 방해가 되는 나뭇잎, 돌, 벌레 등은 '루스 임페디먼트(Loose Impediment)'라 하여 벌타 없이 치울 수 있습니다. 단, 공이 함께 움직이면 1벌타입니다. 고무래, 음료수 캔 등 움직일 수 있는 인공 장애물은 벌타 없이 치우고 샷을 할 수 있습니다.

 

3. 공포의 구역: 페널티 구역(Penalty Area)과 벙커(Bunker) 규칙 😱

많은 아마추어 골퍼들이 가장 헷갈려 하고 두려워하는 곳이죠. 하지만 규칙만 알면 현명하게 탈출할 수 있습니다.

페널티 구역 (이전 명칭: 해저드)

페널티 구역은 노란색 말뚝/선(Yellow Penalty Area)과 빨간색 말뚝/선(Red Penalty Area)으로 구분됩니다. 둘 다 1벌타를 받지만, 구제 방법이 다르니 꼭 구분해야 합니다.

구분 구제 옵션 (1벌타) 핵심 포인트
노란색 페널티 구역 1. 원래 쳤던 곳에서 다시 치기
2. 공이 구역 경계를 넘어간 지점과 홀을 연결한 선상 뒤쪽에서 드롭
뒤로만 구제 가능
빨간색 페널티 구역 노란색 구역 옵션 2가지 +
3. 공이 경계를 넘어간 지점에서 홀에 가깝지 않게 두 클럽 이내 드롭 (측면 구제)
측면 구제 옵션 추가!

벙커

⚠️ 벙커에서는 절대 금지! (위반 시 2벌타)
샷을 하기 전에는 클럽 헤드가 모래에 닿아서는 안 됩니다(어드레스 시 클럽을 살짝 들어야 함). 또한, 손이나 클럽으로 모래의 상태를 테스트하는 행위도 금지됩니다.

 

4. 스코어 폭망의 주범! OB(Out of Bounds)와 분실구 규칙 😭

흰색 말뚝으로 표시된 OB 구역으로 공이 나가거나, 3분 이내에 공을 찾지 못하면(분실구) 동일한 규칙이 적용됩니다.

  • 원칙 (스트로크와 거리): 1벌타를 받고, 원래 쳤던 장소에서 다시 샷을 해야 합니다. 티샷이 OB가 났다면 1벌타를 받고 3타째 샷을 티잉 구역에서 다시 해야 합니다.
  • 빠른 진행을 위한 로컬룰: 원칙대로라면 다시 돌아가야 하지만, 대부분의 골프장에서는 빠른 진행을 위해 로컬룰을 적용합니다. 2벌타를 받고 OB가 난 지점 또는 공을 잃어버린 지점 근처의 페어웨이에서 다음 샷을 할 수 있게 해줍니다. (예: 티샷 OB 시 4타째 샷)

 

5. 마무리는 신중하게: 퍼팅 그린(Putting Green) 규칙 🏆

그린 위에서는 다른 곳에서 허용되지 않던 많은 것들이 가능해집니다.

  • 마크하고 공 닦기: 그린 위에서는 자신의 공을 마크하고 집어 올려 닦을 수 있습니다.
  • 라이 수리 가능: 다른 사람의 퍼팅 라인을 밟지 않도록 조심해야 하지만, 자신의 퍼팅 라인 위에 있는 볼 자국(피치 마크)이나 오래된 홀 자국은 수리할 수 있습니다.
  • 깃대(Flagstick): 깃대를 꽂아둔 채로 퍼트해도 되고, 빼고 쳐도 됩니다. 아무런 페널티가 없습니다.
💡 꼭 알아두세요! '언플레이어블 볼' 선언
페널티 구역을 제외한 코스 어디에서든 공을 도저히 칠 수 없는 상황(나무뿌리, 덤불 속 등)에 처했다면 '언플레이어블(Unplayable)'을 선언할 수 있습니다. 1벌타를 받고 아래 세 가지 옵션 중 하나를 선택해 구제받을 수 있습니다.
1. 원래 쳤던 곳에서 다시 치기
2. 홀과 공을 연결한 선상 뒤쪽에서 드롭하기
3. 공이 있던 위치에서 홀에 가깝지 않게 두 클럽 이내에 드롭하기
💡

핵심 벌타 규칙 한눈에 보기

🚨 2벌타: 잘못된 공 플레이, OB/분실구(로컬룰 적용 시), 벙커 안에서 클럽이 모래에 닿았을 때, 티잉 구역 밖에서 쳤을 때
🚨 1벌타: OB/분실구(원칙 적용 시), 페널티 구역(노랑/빨강) 구제, 언플레이어블 선언, 루스 임페디먼트 제거 중 공이 움직였을 때
✅ 벌타 없음: 그린에서 공 닦기, 피치 마크 수리, 움직이는 인공 장애물 제거, 샷 이전에 티에서 공이 떨어진 경우

자주 묻는 질문 ❓

Q: 공을 찾는 시간은 얼마나 주어지나요?
A: 3분입니다. 동반자들이 함께 찾기 시작한 순간부터 3분이 지나면 '분실구'로 처리되니, 샷이 이상한 방향으로 갔다면 잠정구를 치고 나가는 것이 좋습니다.
Q: 실수로 동반자의 공을 쳤어요.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스트로크 플레이(타수 계산 경기)에서는 2벌타를 받습니다. 그리고 자신의 원래 공을 다시 쳐야 합니다. 잘못 친 공은 원래 있던 자리에 다시 가져다 놓아야 합니다.
Q: 드롭은 어떻게 하는 건가요?
A: 정해진 구제 구역 안에서, 무릎 높이에서 공을 떨어뜨리는 것이 올바른 드롭 방법입니다. 어깨 높이에서 하던 것은 옛날 규칙이니 주의하세요!

골프 규칙, 이제 조금은 자신감이 생기셨나요? 오늘 알려드린 내용만 잘 숙지해도 라운드 내내 겪는 대부분의 상황에 현명하게 대처할 수 있을 거예요. 규칙을 아는 것은 스코어를 지키는 것뿐만 아니라, 동반자를 배려하고 골프라는 스포츠를 존중하는 가장 기본적인 매너입니다. 즐거운 라운딩 되시길 바랍니다! 😊

다음 이전